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ython
- BIG-O NOTATION
- test
- zsh
- linux
- AWS
- Shell
- iterm2 shortcuts
- iterm2 단축키
- 테라폼 기본 문법
- terraform 문법
- terraform
- minikube mac 설치
- docker-compose
- 파이썬
- Django
- nosql
- 테라폼 문법
- sftp란
- 컨테이너
- 도커컴포즈
- zshrc
- 빅오노테이션
- server
- minikube 설치 방법
- customize
- Bash
- docker
- DynamoDB
- 도커
- Today
- Total
목록server (2)
sklass의 s-class 프로그래밍 blog

Proxy 프록시(proxy)란 '대신'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해주는 것을 프록시라고 하고, 그 기능을 하는 서버를 프록시 서버라 부르게 됩니다. 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해서 저장해둡니다. 클라이언트는 캐시 안에 있는 내용을 요청할 경우, 원격 서버에서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송 시간을 아낄 수 있고, 불필요한 외부 연결을 안해도 됩니다. 또한 서버측은 트래픽이 줄어들어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록시는 크게..

웹(Web)은 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www, web, w3 등으로 씁니다. 1989년 3월 컴퓨터 과학자인 Tim Berners-Lee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웹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html, image, video, sound와 같은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아래 그림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 클라이언트는 요청(request)을, 서버는 응답(response)을 담당합니다. 이때 클라이언트란,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장치를 가리킵니다. 즉, 웹 브라우저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웹 브라우저의 동작 원리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 과정을 배워보겠습니다. 네이버에 접속하고 싶다면, 해당 URL 주소(https://w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