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inikube 설치 방법
- 빅오노테이션
- iterm2 단축키
- AWS
- 테라폼 문법
- zshrc
- python
- 파이썬
- zsh
- docker
- iterm2 shortcuts
- server
- docker-compose
- test
- Bash
- 테라폼 기본 문법
- 컨테이너
- terraform
- DynamoDB
- minikube mac 설치
- customize
- Shell
- nosql
- sftp란
- linux
- 도커컴포즈
- Django
- 도커
- BIG-O NOTATION
- terraform 문법
- Today
- Total
목록Shell (3)
sklass의 s-class 프로그래밍 blog
rsync 명령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로컬 및 원격으로 동기화 (또는 복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rsync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소화시켜 scp나 rcp 보다 훨씬 빠르고 효울적으로 데이터를 동기화 시키는 Delta Encoding Algorithm(델타 전송 알고리즘) 에서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즉, 전체 파일을 복사하는 대신 소스에서 대상으로 변경 사항만 동기화하거나 복사하여 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입니다. Linux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rsync 명령을 사용하여 일상적인 백업, 미러링 및 복원 활동을 관리합니다. rsync 명령어는 아래와 같은 순서를 가집니다. 로컬 동기화: $ rsync {options} {Source} {Destination} ..
개요 tee는 표준 입력(standard input)에서 읽어서 표준 출력(standard output)과 파일에 쓰는 명령어입니다.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OUTFILE에 hello라는 내용이 기록됩니다. (단, 이 명령어는 OUTFILE에 hello라는 내용이 덮어씌어지는 것으로, 전에 있던 내용물은 사라지게 됩니다.) $ echo "hello" | tee OUTFILE 다음 명령어는 OUTFILE을 NEWFILE로 복사합니다. $ cat OUTFILE | tee NEWFILE echo 사용시 shell의 append 연산자인 >> 를 사용하려면, -a 나 --append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 echo "hello" | tee -a OUTFILE 표준 출력에는 쓰지 않으려면 tee의 맨 마지막..

terminal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iTerm2 + zsh + oh my zsh의 조합으로 많이 사용되며 각각 어떤점들이 좋은지 하나씩 확인해보겠습니다. Z Shell (zsh) zsh는 터미널 shell 환경을 위한 도구로, bash, ksh, tcsh의 일부 기능과 유용한 기능을 더한 shell입니다. zsh를 쓰면 느낄 수 있는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tab을 이용한 자동완성 기능 다양하고 이쁜 테마와 플러그인 스펠링 체크 history 기능 zsh 설치하기 macos는 기본적으로 zsh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합니다. $ brew install zsh 만약 설치가 되어있다면, 다음과 같이 zsh를 업데이트 해줍니다. $ brew update $ br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