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테라폼 문법
- DynamoDB
- 컨테이너
- 도커컴포즈
- test
- docker
- linux
- 빅오노테이션
- customize
- 파이썬
- AWS
- BIG-O NOTATION
- terraform 문법
- terraform
- Django
- sftp란
- nosql
- minikube mac 설치
- 도커
- iterm2 단축키
- Bash
- minikube 설치 방법
- zshrc
- 테라폼 기본 문법
- zsh
- Shell
- iterm2 shortcuts
- server
- python
- docker-compose
- Today
- Total
목록docker (5)
sklass의 s-class 프로그래밍 blog
Docker container 내부에서 host (Mac) 에 실행중인 서비스에 api 호출하려면, Docker container 내부에서 host 인 Mac 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한 특별한 DNS 이름인 “docker.for.mac.localhost”를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참고하세요. @app.route("/api/order//deliver_finish", methods=["POST"]) def deliver_finish(id): req = requests.get("http://docker.for.mac.localhost:8000/api/order/" + str(id)) return req.json() 위의 예제는 로컬 Mac에서 8001번 포트에서 Flask로 구동되는 한 서비스에..
Docker 설치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Docker 설치 확인 $ docker --version Docker 그룹에 현재 사용자 추가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시킨 후에, exec $SHELL 명령어로 쉘을 다시 실행시키면, sudo를 쓰지 않아도 docker 관련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sudo usermod -aG docker $USER Dockerfile 생성 sudo vi Dockerfile Dockerfile 내용 FROM python:3.6.7 ENV PYTHONUNBUFFERED 1 RUN apt-get -y update RUN apt-get -y install vim RUN mkdir /srv/docker-django AD..
up docker-compose.yml 파일의 내용에 따라 이미지를 빌드하고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자세한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를 띄울 네트워크 설정 필요한 볼륨 생성(혹은 이미 존재하는 볼륨과 연결) 필요한 이미지 풀(pull) 필요한 이미지 빌드(build) 서비스 의존성에 따라 서비스 실행 $ docker-compose up up 명령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도 존재합니다. -d: 서비스 데몬으로 실행하여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게합니다. (docker run에서의 -d와 같습니다.) --force-recreate: 컨테이너를 지우고 새로 만듭니다. --build: 서비스 시작 전 이미지를 새로 만듭니다. ps 현재 환경에서 실행 중인 각 서비스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 docke..
Docker Compose 란?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실행하기 위한 도구로, 쿠버네티스처럼 yaml 파일을 이용해서 여러 응용 프로그램의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Docker Compose에 대해 알아보기 전, Docker Compose를 쓰지 않을때의 불편한 점이 뭐였길래 Docker Compose가 개발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Django를 도커로 실행하고 싶을 경우,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django 서버 둘다를 도커 컨테이너화 해야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도커 컨테이너들은 각각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됩니다. 다시 말해, 별도의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다른 컨테이너의 존재를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먼저 실행한 후 django 서버를 실행해야하지만, ..

도커(Docker)는 2013년에 등장한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도구로, Go 언어로 개발되었습니다. 도커는 리눅스 상에서 컨테이너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격리해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계층화된 파일 시스템에 기반해 효율적으로 이미지(프로세스 실행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이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으며, 다시 특정 컨테이너의 상태를 변경해 이미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는 파일로 보관하거나 원격 저장소를 사용해 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도커만 설치되어 있다면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나 컨테이너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도커(Docker) VS 가상머신(VMWare, VirtualBox)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로 에뮬레이션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