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linux
- minikube 설치 방법
- 파이썬
- terraform
- Bash
- 컨테이너
- 빅오노테이션
- zshrc
- 테라폼 문법
- terraform 문법
- iterm2 단축키
- DynamoDB
- server
- minikube mac 설치
- docker-compose
- iterm2 shortcuts
- Shell
- 도커컴포즈
- BIG-O NOTATION
- sftp란
- test
- zsh
- docker
- 도커
- customize
- nosql
- Django
- 테라폼 기본 문법
- AWS
- python
Archives
- Today
- Total
sklass의 s-class 프로그래밍 blog
Terraform 기본 문법 본문
Terraform 문법은 기본적으로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문법을 따르게 됩니다.
아래의 문법을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resource "aws_vpc" "main" {
cidr_block = var.base_cidr_block
}
<BLOCK TYPE> "<BLOCK LABEL>" "<BLOCK LABEL>" {
# Block body
<IDENTIFIER> = <EXPRESSION> # Argument
}
- <BLOCK TYPE>: resource, data, local, variable, output 등과 같은 블록의 타입이 옵니다.
- <BLOCK LABEL>: 0개 혹은 1개 이상의 BLOCK LABEL이 올 수 있고, 위의 경우, 첫번째 BLOCK LABEL은 resource의 종류, 두번째 BLOCK LABEL은 resource의 이름이 옵니다.
- <IDENTIFIER>, <EXPRESSION>: 블록내의 argument값으로 key-value 형식으로 값이 옵니다.
.tf 파일을 작성할 때 유의할 점은, 탭이 아닌 2 spaces를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새줄을 구분할 때 탭을 쓰는것을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terraform에서는 .tf 파일의 formatting을 도와주는 옵션을 지원하고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 terraform fmt -di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