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linux
- 테라폼 문법
- docker-compose
- zsh
- zshrc
- 도커
- nosql
- terraform 문법
- server
- test
- 파이썬
- minikube mac 설치
- terraform
- BIG-O NOTATION
- docker
- Shell
- 도커컴포즈
- customize
- iterm2 단축키
- Bash
- iterm2 shortcuts
- AWS
- 빅오노테이션
- 컨테이너
- minikube 설치 방법
- python
- 테라폼 기본 문법
- sftp란
- Django
- DynamoDB
Archives
- Today
- Total
sklass의 s-class 프로그래밍 blog
[SSH] known_hosts와 authorized_keys 본문
~/.ssh 폴더에 보면 known_hosts와 authorized_keys 라는 public key가 등록된 파일이 두 개 있는데 이 두개의 차이점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known_hosts에는 내가 다른 서버에 접속 할 때, 그 서버의 public key가 등록되고
authorized_keys는 다른 컴퓨터가 client로서 내 서버에 접속하려고 할 때, 그 client의 public key입니다.
known_hosts는 해당 서버 접속 시 자동으로 등록이 되고
authorized_keys는 직접 등록을 해야 해당 클라이언트가 이 컴퓨터로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References
https://velog.io/@hyeonseop/SSH-Key%EB%A1%9C-%EC%84%9C%EB%B2%84-%EC%A0%91%EC%86%8D%ED%95%98%EA%B8%B0
SSH Key로 서버 접속하기
ssh key로 서버 접속하는 법 (ssh key 생성, 등록, +a)
velog.io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와 세션의 개념 (1) | 2021.12.06 |
---|---|
Sticky Session (0) | 2021.12.05 |
Forward Proxy와 Reverse Proxy (0) | 2021.11.14 |
SSH (Secure Shell) (0) | 2021.11.07 |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정리 (0) | 2021.10.31 |